#5학년 #역사프로젝트
내 안의 흥미로 시작하여
스스로 탐구하고 서로 나누는 역사 주제 탐구
교사 김하나 (솔뫼초등학교)
수업 결과
역사란 무엇인지 생각하기
유물 발굴 체험하기
발굴한 유물 기록하기
역사 브레인스토밍1
역사 브레인스토밍2
주제 탐구 목차 만들기
주제 탐구 결과 나누기
주제 탐구 결과 공유하기
수업 도움말 및 수업 성찰
- 역사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에는 역사에 관한 배경지식이 전혀 없는 학생들이 많으므로 사회교과서와 사회과부도를 참고하여 눈에 띄거나 알아보고 싶은 내용을 찾으며 모아 나갔다. 그 과정을 통해 우리 반 학생들이 궁금한 역사 질문 101개를 완성하게 되었다.
- 주제 탐구를 위한 목차를 만들 때 자신과 친구들의 궁금한 점을 질문 형식으로 만들었다. 스스로 궁금한 점에 모둠 친구들의 궁금한 점을 포스트잇에 적어서 모은 후 흐름에 알맞게 정리했다. 그 후 교사와 1대 1로 면담하며 피드백을 받아 최종적으로 목차를 정했다.
- 주제 탐구를 할 때 1차로 사회 교과서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그 다음으로 역사 도서를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인터넷 자료를 활용했다. 또한, 시대별 역사 관련 도서를 충분히 교실에 비치해둠으로써 학생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 주제 탐구 자료를 정리할 때에는 충분한 기간 동안 깊이 있는 탐구를 할 수 있도록 수업 시간을 최대 2차시까지만 묶어 이틀 이상의 시간을 두어 배치했다.
- 보고서의 내용 중 마지막에는 나의 생각과 한 줄 핵심 정리를 적도록 했다. 한 줄 핵심 정리는 나의 탐구 주제의 내용을 비유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그렇게 표현한 이유를 함께 적으며 아래의 탐구를 위한 질문들의 답이 포함되도록 지도했다. 핵심 정리는 곧 자기만의 역사적 평가이며, 탐구 내용에 관한 의미를 스스로 부여하고 자기만의 해석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 역사 주제 탐구 결과를 나눌 때에는 솔뫼 지식나눔 구조를 활용했다. 솔뫼 지식나눔 구조는 구조적으로 모둠을 바꾸어 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친구들을 만나 탐구 결과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적은 인원으로 구성된 모둠 안에서 친구들과 가까이 탐구 결과를 나누고 충분히 질문하고 답하게 한다. 또한 여러 차례의 반복된 발표를 통해 탐구 내용에 대한 이해가 더욱 심화되어 그 주제에 대한 전문가가 되어간다. 뿐만 아니라 발표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친구들이 한 질문 중 답하지 못한 내용을 보고서에 보충하면서 탐구 결과물의 완성도도 높아지게 된다.
- 탐구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친구들과 정보를 나눌 때에 더 의미 있는 질문과 생각이 오고 갈 것이다. 자기화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교사는 더 많은 시간 동안 피드백을 주고 받아야 하고, 이해하기 쉬운 자료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 친구의 탐구 결과를 집중하며 듣는 것은 단순히 기억만 하는 것이 아닌 이해를 목표로 해야 한다. 자신의 탐구 내용을 이해하고 친구들에게 설명하는 것을 연습하는 시간도 필요하다.
- 주제 탐구 결과를 공유한 후, 자신의 주제에 대한 핵심 내용을 카드에 정리하여 교실 뒤 게시판에 시대에 흐름에 맞춰 게시했다. 전체 역사의 흐름을 한 눈에 알 수 있고 공유하지 못한 친구들의 탐구 내용도 알게 하기 위해서이다.
탐구를 위한 질문들 |
|
|
---|---|---|
탐구 결과를 공유하며 주고받을 수 있는 질문들 |
|
|